part 05 보조저장장치&가상화
하드디스크(HDD)
- 비휘발성의 순차접근이 가능한 컴퓨터의 보조 기억장치이다.
[ 내부구조 ]
트랙(Track) |
섹터(Sector) |
클러스터(Cluster) |
SSD(Solid State Drive)
- 반도체 드라이브
- 기계적 장치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에 비해 속도가 훨씬 빠름
플래시 메모리(Flash Memory)
- EEPROM의 일종으로 저장밀도가 높고 저전력 고신뢰성의 특징을 가진 반도체 기억장치
네트워크 저장장치
- 네트뭐크를 통해서 클라이언트들이 접근하여 데이터를 저장, 복사등의 디스크 작업을 할 수 있는 저장장치
스토리지(Storage)
- 데이터 저장장치 그 자체를 'storage' / 'storage device'
- 의미가 확대되어 전문화, 네트워킹화, 대용량화된 저장기술을 총칭
RAID(Redundant Array of [Inexpensive|Independent ] Disks)
- 여러개의 물리적 디스크를 "논리적" 디스크로 결합하는 스토리지 가상화 기술
➡️ 디스크를 묶어서 크게 만드는 것
- 목적
■ 데이터의 중복, 분산저장을 통한 안정성
■ 병렬처리를 통한 성능향상 ( 장애 허용, 결함 감내 시스템 )
■ 신뢰성(Reliability), 가용성(Availability), 성능(Performance), 용량(Capacity)
주기억장치와 보조저장장치간 정보 전송
- 보조저장장치 ➡️ 주기억장치
■ 시스템 초기화 과정에서 OS 프로그램이 보조저장장치로부터 주기억장치로 적재(load)가 됨
■ 응용프로그램이 처음 수행될 때도 마찬가지로 적재
■ 새로 생성되거나 수정된 데이터 보조저장장치에 영구저장
■ 주기억장치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 보조저장장치로 swap-out & swap-in
- SWAP
■ linux에서 시스템 메모리 용량이 부족할 때 디스크의 특정 파티션/swap 파일을 이용해 추가로 용량을 확보해주는 공간 ➡️ 보조저장장치의 일부를 메모리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
가상화(Virtualization)
- 컴퓨터에서 컴퓨터 리소스의 추상화를 일컫는 광범위한 용어
- 물리적인 컴퓨터 리소스의 특징을 다른 시스템, 응용 프로그램, 최종 사용자들이 리소스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부터 감추는 기술
- 하드웨어에 종속된 컴퓨터 리소스를 추상화하여 서버,스토리지,네트워크등의 소프트웨어 IT서비스를 생성하는 기술
[ 가상화의 분류 ]
Server Virtualization |
Desktop Virtualization |
Application Virtualization |
Network Virtualization |
Storage VIrtualization |
'CS > 온&오프라인 강의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억장치 (0) | 2021.12.02 |
---|---|
컴퓨터구조 (0) | 2021.11.30 |
댓글